[학사] 2025학년도 2학기 연구중심학위이수제 신청 안내
- 신소재공학부
- Hit143
- 2025-07-28
연구중심 학위 이수제란 ?
- 강의 수강 대신에 실제 연구 수행을 통한 연구학점 취득과 이를 통한 연구수월성 증진
- 우수학생(학점, 연구실적), 파견학생(교환학생, 복수학위자, 인턴, 학연 등) 등 연구중심 학생을 우선적으로 선발할 예정입니다.
● 대상 :
대학원 학술학위과정 재학생 중 수료학점의 50%미만, 수업연한의 1/2 이수 미만인 자들을 대상으로 함(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 교과목명 :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Ⅲ1(3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Ⅲ2(3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Ⅳ1(6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Ⅳ2(6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Ⅴ(9학점)
● 최대 취득가능 연구학점 : 석사 6학점, 박사 9학점, 석박통합 12학점
● 이수요건
1. 공개/영어 presentation
: 연구의 중간 실적 및 향후 계획에 대한 공개/영어 presentation 결과에 따라 연구지속 여부를 결정
- 매 학기 공개/영어 presentation(실험실 내의 발표도 인정함)
- PPT발표 및 발표 사진 제출
2. 학술지 논문 게재
: 연구결과물을 국제학술지(SCI(E)) 학술지에 주저자로 게재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 석사: JCR기준 상위 2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1편 게재 혹은 BK기준 국제학회에서 1건 이상 구두발표 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 박사: JCR기준 상위 1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2편을 게재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 석박통합과정: JCR기준 상위 1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3편을 게재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1. 신청기한: 8월 8일 (금) 17:00
2. 제출서류: 붙임1_연구중심학위이수제신청서, 이력서(논문실적 포함, 별도양식 없음), 해외파견 증빙서류(별도양식 없음)
3. 제출 장소 : gradamse@skku.edu 혹은 신소재공학부 사무실(25115)
4. 선정 발표: 개별 안내 예정
시행학과 구분 | 신소재공학과 |
대상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학생 |
연구기관 소속 | - |
연구학점 취득 | 석사 : 6학점 박사 : 9학점 석박사통합과정 : 12학점 |
교육과정 편성 (개설 교과목) |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Ⅲ1(3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Ⅲ2(3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Ⅳ1(6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Ⅳ2(6학점), 신소재공학심층개별연구Ⅴ(9학점) |
영어/공개 PT | 연구학점을 이수하는 매 학기마다 공개 영어 presentation 실시. 합격자에 한해 과정이수 지속을 허용하며, 불합격한 경우에는 즉시 교과중심 학위이수로 환원(기 취득 연구학점은 인정하되, 신규 연구학점 취득은 불가) |
학술지 논문 게재 | 석사: JCR기준 상위 2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1편 게재 혹은 BK기준 국제학회에서 1건 이상 구두발표 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박사: JCR기준 상위 1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2편(연구논문)을 게재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석박통합과정: JCR기준 상위 10% 수준 이내 학술지에 주저자 자격으로 논문 3편(연구논문)을 게재한 경우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신청자격 부여 |
중도포기 | 중도포기자의 경우 일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기존에 취득한 연구학점은 인정)에 학위수여 가능하다. - 단, 수료연한 1개 학기 전(석박사통합과정은 2개 학기 전)까지만 중도포기가 가능하며 이후에는 중도포기가 불가능하다.(중도포기 시 기존 지원은 모두 중단되며, 연구학점 취득 역시 불가) |
학위수여 | 교과중심 학위이수 요건인 ①논문제출자격시험 합격, ②학위논문 예비심사/본심사 합격과 함께, ③연구학점 취득, ④공개/영어 Presentation, ⑤일정한 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게재 등 자격 충족 시 학위를 수여한다. |
- Next
- No new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