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umni] 정현석교수님 연구실 공오영 연구원, 해외 박사후연구원 (GPF) 연수후기
- 신소재공학부
- Hit157
- 2025-09-16
글 : 공오영
1. 연수 개요
저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신소재공학과 정현석 교수님의 지도를 통해 박사학위를 수여 받은 공오영입니다. 학위과정 동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유연 태양전지의 결함제어를 주제로 연구하였으며, 이어서 BK21 2024 해외 박사후연구원 (Global Postdoctoral Fellowship) 지원사업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에서 2024년 3월부터 1년간 공동연구 연수를 수행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MIT는 혁신적인 연구와 창의적인 학문 환경으로 유명한 곳이며, 본 연수를 통해 학문적 역량을 심화하고 국제적인 협업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 1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캠퍼스 중심의 맥클로린 빌딩 [연수자 본인 촬영]
2. 연구 활동
재료공학 박사로서 다양한 반도체 소재 연구를 통해 에너지 생산 반도체 소재와 기능성 반도체 소재의 융복합 기술 개발을 목표로 연수기간 동안 저는 MIT의 김지환 교수님 연구실에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소재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MIT의 김지환 교수님 연구팀은 다양한 2차원 소재 및 차세대 전자 소자에 대한 연구를 다수의 기관 및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소재 및 공정 기술 난제들을 극복하여 세계적인 최정상급의 연구 결과들을 지속하여 도출하고 있습니다. 학위과정 동안 습득한 결함제어 및 고성능 소자 제조 공정 기술들을 기반으로 김지환 교수님 연구팀에 합류하여 기존 소재 및 공정의 한계를 논의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는 연구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3. 연구 환경 및 협업
MIT는 연구자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곳으로, 실험실 시설과 연구 지원 시스템이 매우 체계적입니다. 특히, MIT에서 관리하고 유지 보수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클린룸은 환경과 먼지에 민감한 나노 소재의 공정 및 분석에 매우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교수와 연구자들은 적극적으로 의견을 나누고 협업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림 2.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대형 클린룸 [mitnano.mit.edu]
4. 개인적 성장 및 경험
이번 연수를 통해 학문적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웠고, 다양한 국적의 연구자들과 협력하면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MIT의 혁신적인 연구 문화와 창의적인 사고방식을 직접 경험하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5. 향후 계획
본 연수에 이어 2025 SKKU President Fellowship에 선정되어 MIT에서의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하며 경험을 심화하고, 국내외 연구자들과 지속적인 협업을 이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향후 장기 해외 연수를 통해 배운 연구 방법론과 협업 방식 등을 본교 및 국내 연구 환경에 적용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6. 맺음말
해당 연수 덕분에 세계적인 연구기관에서 귀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수는 제 연구 경력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를 발판 삼아 더욱 발전해 나가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과정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revious
- 조형균 교수님 연구실 최지훈 연구원, BK장기해외연수 소감
- Next
- No new post